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서비스 공급주체 다변화
다양한 공급주체 간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가능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소시엄 운영모델’ 구축 및 지역 내 활성화 추진

추진배경

저출산 사회
  • 1991년 합계 출산율 1.71명, 출생아 71만명
  • 2022년 합계 출산율 0.78명 출생아 24만명*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23년)
출산율 1명 미만, 감소세 유지
고령화 사회
  • 60세 이상 인구 13,323천명(2022년)
  • 총 인구(51,692천명) 대비 26%*
* 통계청(KOSIS), 연령 및 성별인구
초고령사회 진입 속도 증가
1인가구 증가
  • 1인 가구 7,502천명(2022년)
  • 전년(2021년) 대비 4.7% 상승*
* 통계청(KOSIS), 성 및 연령별 1인가구
전통적 가족 유형 변화, 1인 가구 증가

필요성

  • 사회의 급변함에 따라 복합·다중적 서비스 욕구가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서비스 공급이 분절적·정형화되어 사회서비스 공급 한계 및 경직성이 발생, 수요자의 욕구 대응 한계
공급방식 변화 + 연계협력필요 > 사회서비스 공급 주체 다변화 사업

기대효과

다양한 공급주체
협력·연계 네트워크 구성
사회서비스 유관기관 등이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맞춤형·통합적 서비스 제공
사회서비스 모델 개발
지역사회 욕구를 기반으로 창발적이고 혁신적인 사회서비스 개발을 통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사회서비스 인식 개선
다양한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고품질의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른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식 향상